12월 9일 AWS 회사에 탐방하게 되었다. 짧은 강연도 듣고 회사를 둘러보기도 하였다. AWS 원칙 강연에서는 클라우드 기술적인 부분이 아니라 회사 원칙에 관해 설명해주셨다. 이 16가지 중 2가지의 의미를 알게 되었다. Bias for Action Bias for Action의 뜻은 “행동으로 옮겨라.” 이다. 엄청 대단한 계획이 있어도 행동으로 옮기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다. 된다 안 된다 걱정하지 말고 무조건 될 것이라 확신하며 행동해라. 만약 결과가 별로 좋지 않았다면 이 경험이 나를 더 성장시켜준다고 생각하며 그만큼 반성하면 된다. 혼자 자책하고 그러는 시간에 다시 한번 더 행동해라. Have Backbone; Disagree and Commit Backbone이란 백본 케이블 에서의 백본 혹은 ..
Blog

📖 개발의 범주에서 학습한 내용 프론트엔드 개발에 대한 내용은 없고, 다들 채용 절차라던지 실리콘 밸리에 관한 내용을 다뤄주셨음. 코딩 테스트 준비 코딩 테스트는 코딩을 테스트하는 것이 아닌 커뮤니케이션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코딩 테스트를 수행하면서 답이 중요한게 아니다. 코딩 테스트의 목적 같이 일하려고 하는 사람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파악 코드 작성 전 대화가 필요 문제에 대한 질문을 하는게 중요! ex. array 정렬 문제 → [0, 2, 5] 음수 정렬은 어떻게 하나요? 인자로 빈 배열이 들어오면 어떻게 하나요? 만약 배열 값에 null이나 string이 들어오면 어떻게 하나요? 면접 답변에 스토리를 부여해라. 마지막으로 회사에 대해 물어볼 게 있나요? A. 음.. tool을 뭐쓰나요? XXXX..

여러가지 블로그 플랫폼을 사용해보고 tistory로 정착하게 된 이야기를 적어보려고 합니다. 저는 블로그 작성하는걸 정말 좋아하는데요, 그래서 저만의 철학이 있었습니다. 포스팅은 카테고리 별로 나눌 수 있어야 한다. 편집이 편해야한다. 이미지 업로드가 쉬워야 한다. 다른 개발자 간의 접근성이 높아야 된다. 이중에서도 저는 4번, 접근성에 초점을 두어 개발자 간의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는 벨로그에서 글을 작성했습니다. 하지만 벨로그의 큰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편집이 복잡하고, 카테고리 별로 분리하지 못해 많은 글을 작성하면 글을 찾기 어려워집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저는 노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morethanmin-log 플랫폼을 사용했습니다. 제가 평소 노션을 통해 개념 정리를 하다보니 블로그..